-
[파이썬] 기초 문법[스파르타코딩클럽]데이터분석 과정/TIL,WIL 2024. 1. 4. 14:51
파이썬 기초 문법에 대해 배우고, 그에 맞는 코드카타를 풀어보았다.
강의 내용에서 얻은 것
1. 변수로 a= b와 b=a가 다르니까, 코드를 입력할 때 주의해야겠다.
2. bool형을 입력할 때 소문자로만 입력하는 버릇이 있어서 계속 오류가 났다.
<True, False> 주의해서 쓸 것!
3. for문이 처음에는 어려웠는데, '여러 값을 출력하기 위해 변수를 여러 번 반복한다 '라고 생각하니 이해하기 쉬워졌다.
4.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int
이런식의 변환 함수? 변환식?을 좀 익혀둬야할 것 같다. 볼 때마다 새로워서 뭐지? 싶었다.
코드카타 풀이
두 수의 합
정수 num1과 num2가 주어질 때, num1과 num2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함수를 완성
-50000<= num1 <=50000
-50000<=num2 <= 50000
내가 푼 코드
answer 변수에 0으로 초기화해주고 정수로 처리하기 위해 int를 사용하였다..
산술 연산 중 더하기 기호인 +를 사용하였다.
다른 사람이 푼 코드
내가 푼 코드와 다른 점은 'int answer = -1'
왜 -1로 지정했는지 궁금했다.
-1이 일반적으로 값이 유효하지 않거나 오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수의 값이 -1인 경우 오류라고 표현되기 때문이다.
두 수의 곱
정수 num1, num2를 곱한 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
0 <= num1 <= 100
0 <= num2 <= 100
내가 푼 코드
answer 변수에 0으로 초기화해주고 정수로 처리하기 위해 int를 사용하였다..
산술 연산 중 곱하기 기호인 *를 사용하였다.
다른 사람이 푼 코드
if (0 <= num1 <= 100 && 0 <= num2 <= 100) 을 통해서 num1과 num2가 0부터 100 사잉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- && :논리적연산자 AND - $a && $b -> $a와 $b 모두 True인 경우 True
두 수의 차
정수 num1에서 num2를 뺀 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 완성
-50000<= num1 <=50000
-50000<=num2 <= 50000
내가 푼 코드
answer 변수에 0으로 초기화해주고 정수로 처리하기 위해 int를 사용하였다..
산술 연산 중 빼기 기호인 -를 사용하였다.
다른 사람이 푼 코드
- || : 논리적 OR - $a || $b $a 또는 $b의 어느 하나가 True인 경우 True
- abs() : 절대값
if (abs(num1) > 50000 || abs(num2) > 50000)
num1의 절대값이 50000 초과거나 num2가 50000 초과인 경우 잘못된 값임을 명령이다.
몫 구하기
정수 num1을 num2로 나눈 몫은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 완성
0 <= num1 <= 100
0 <= num2 <= 100
내가 푼 코드
두 수의 나눗셈
정수 num1을 num2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 완성
0 <= num1 <= 100
0 <= num2 <= 100
내가 푼 코드
정수 부분은 return하기 때문에 return 뒤에 정수형을 출력하기 위한 int를 작성하고
num1과 num2를 나누는 num1/num2
1000을 곱하기 *100
다른 사람이 푼 코드
- double : 부동 소수점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, 실수를 표현하는 데 사용
(double) num1은 예를 들어 num1이 5라면 (double)num1은 5.0인 것이다.
'[스파르타코딩클럽]데이터분석 과정 > TIL,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DT 실무형 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3주차 (1) 2024.01.05 [파이썬] 심화 문법 (1) 2024.01.05 [SQL] SQL 과제 풀이와 데이터 리터러시 (2) 2024.01.03 [SQL] 집합 연산자, 서브쿼리, 다중행함수 (1) 2024.01.02 KDT 실무형 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2주차 (1) 2023.12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