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기초프로젝트] KPT[스파르타코딩클럽]데이터분석 과정/TIL,WIL 2024. 1. 18. 17:01
K
(공통)
-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었다
-질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
-아이디어가 많았다(김승연)
-주제 선정과 목차 구성하는 능력
(이미연)
- 부끄럼 없이 기본적인 질문이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묻고 답하는 편안한 팀의 분위기
(정성훈)
- 팀원들과 자유롭게 주제를 말하고 토론을 하는 것
- 아이스 브레이킹을 통해 많은 주제를 던지고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주제를 다양화 하는 것
(김두현)
- 편안한 팀 분위기
(전진건)
-진도가 달라도 제가 못하는 부분을 팀원들이 이끌어주는 점.
-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계속 모여 신선한 아이디어가 나오는것
P
(공통)
-자유롭게 이야기하다보니까 가끔 주제를 벗어나는 이야기로 갈 때도 있었다.
-해결하는 사람이 한정적이다보니 모든 사람의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
-아이디어가 많은데,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다보니 한 가지를 정할 때 어려웠다(김승연)
-원하는 결과가 아닐 때 기분 안좋은 걸 상대에게 티 냈다
(이미연)
-개인간의 능력이나 익숙함에 따라 역할을 분배한 것 같아서 새로운 분야에 대한 빠른 성장에 있어서는 아쉬움이 있었다.
(정성훈)
- 너무 다양한 주제 토출로 인한 목적성 희미
- 좀 더 목적에 맞는 주제로 집중(김두현)
> 한 가지의 주제로 좁혀하기 위한 끝맺음을 잘 하지 못한 점
> 프로젝트 진행의 어려움
- 데이터 수집 어려움
- 문제 정의 및 가설 설정하는 어려움이 있긴 했지만 결국 데이터 수집에 따라 좌지우지 되는 문제(전진건)
-배우는 내용이 계속 바뀌어서 따라잡기 힘들었다
-나 자신의 학습력 끌어올리기, 데이터 수집
T(공통)
-목적을 확실히 끝내는 것을 우선순위로 둬야겠다
-모르는 부분을 모든 팀원들이 함께 고민하며 해결해야겠다.
-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되 프로젝트에 적합한 주제 선정을 해야겠다.(김승연)
-의사소통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, 팀원이 이해했는지 확인하기
(이미연)
-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익숙한 사람과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섞여 역할을 분배하면 좋을 것 같다. (프로젝트 기간을 늘려주심이 어떠신지..)
(정성훈)
- 다양한 주제들을 분야별로 나누어 기록해 두는 것
- 주제에 맞는 데이터 선정(김두현)
- kaggle 이나 dacon 등을 통해서 프로젝트 진행에 익숙해지기
- 도메인에 관한 지식, 방법론, 시사를 차근차근 배워가기(전진건)
- 주말 시간을 투자해서 따라잡기
-데이터 수집 따로 주제 정해서 많이 해보기
-관련 자료 찾아보기,튜터님과의 상담
'[스파르타코딩클럽]데이터분석 과정 > TIL,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계 1/코드카타 (0) 2024.01.19 [기초프로젝트] Day 6 (0) 2024.01.18 [기초프로젝트] Day 5 (0) 2024.01.17 [기초 프로젝트] Day 4 (0) 2024.01.16 [기초프로젝트] DAY 3 (0) 2024.01.15